반응형
RSI (Relative Strength Index, 상대 강도 지수)는
주식, 외환, 상품 등 다양한 금융 시장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분석 지표입니다.
가격의 상승과 하강의 속도를 측정하여
자산이 과매도(oversold) 또는 과매수(overbought) 상태인지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.
RSI는 0에서 100 사이의 값을 가지며,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해석됩니다:
- 70 이상: 자산이 과매수 상태로 판단되어 가격 조정(하락)이 있을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.
- 30 이하: 자산이 과매도 상태로 판단되어 가격 반등(상승)이 있을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.
- 50 근처: 강한 추세가 없거나 가격의 균형 상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.
RSI는 보통 14일 기간을 기준으로 계산되며, 다음 공식을 사용합니다:
RSI=100−(100/1+RS)
여기서 RS는 평균 상승폭과 평균 하락폭의 비율입니다.
RSI는 트렌드의 강도나 변화를 파악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며,
과매도나 과매수 신호를 통해 매매 타이밍을 잡을 수 있습니다.
참고자료, 보고 가실게요!!
Python과 관련 라이브러리로 그린 그래프입니다!

Apple 주가입니다!
티거는 APPL이죠?
RSI로 과매수 과매도 시점을 볼 수 있습니다!
그래프 만으로도 많은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네요!
과매도 / 과매수 보조지표로
매도 매수 참고용 지표로 쓸 수 있는 RSI!
꼭 익혀서 성공적인 투자 하시길 바래요!
반응형
'주식 > 주식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국 주식 검색 및 분석 해보기: 똑똑하게 종목을 선정해보자! (0) | 2025.03.20 |
---|---|
투자 방법과 전략: 나에게 맞는 투자 스타일 찾기 (1) | 2025.03.18 |
숏(Short), 롱(Long), 콜 (Call)이 뭐야? - 나는 왕초보! (0) | 2025.03.18 |
조금 더 안전하게 미국 주식 하는 방법: 지수를 활용한 투자 (0) | 2025.03.18 |
주가 차트 읽는 법과 기술적 분석 기초 (0) | 2025.03.17 |